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그즈음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그즈음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72)
    • 글 (15)
    • 그림 (13)
    • 영화 (10)
    • 일상 (13)
    • 내돈내산 (11)
    • 0개 국어 (10)
  • 방명록

0개 국어 (10)
[한글 / 맞춤법] '설레다'는 맞고 '설레임'은 틀렸다

아주 예전에 '설레임'이 틀렸단 소리를 들은 기억이 있어서아 '설레다'가 아니고 '설래다'인가 보다 했는데그게 틀린게 아니었다! 하마터면 더 무식해질 뻔했다.'설레다' 맞습니다.설에 맞춰서 ㅓ, ㅣ 구나라고 억지 써서라도 머리에 넣으려고 한다. 그럼 '설레임'은 뭐가 잘못된 거지? '설레임'이 아니라 '설렘'이 맞는 표현이다.'설레이다' 역시 '설레다'가 맞다.시나 노래 등에 쓸 때는 시적 허용으로 쓸 수 있는 표현이고,아이스크림 이름처럼 고유명사로 쓸 때는 당연히 가능하지만표준어로 사용할 때는 틀리지 않게 조심해야겠다. 팍팍한 인생에 찐 '설렘' 보다아이스크림 '설레임'을 찾는 일이 더 많을 테지만 ^^;;

0개 국어 2025. 6. 30. 17:01
[한글 / 맞춤법] 뺏다, 뺐다 뜻에 맞춰 쓰기

매일매일 한글을 읽고, 듣고 살고 있는데도쓰는 건 빵점이라 미치겠다.이제는 알던 것도 헷갈린다. 포스팅 중 '빼앗다'를 쓰다가 갑자기요새 받침 'ㅆ'을 'ㅅ'으로 오타처럼 쓰는 게 유행이니까실제는 '빼았다'인가 하다가 이게 또 낯설어서 결국 검색을 해보니 '빼앗다'가 맞는 거였다!그래서 줄임말은 '뺏다'이다.그럼 '뺐다'는? '뺐다'는 '빼다'의 과거형으로고로 '뺏다'와 '뺐다'는 둘 다 맞는 맞춤법이다. 기본형인 '빼앗다'와 '빼다'를 생각하면서뜻에 맞게 쓰는 것이 중요하겠다. '빼앗다', '뺏다'는 받침 'ㅅ'을 빼앗겼다는 의미로,'빼다', '뺐다'는 쉽게 더하기 빼기로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 말이 되던 안되던 포스팅만 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머릿속에 어떻게든 입력하고 싶어서 기억할 수 있는 ..

0개 국어 2025. 4. 19. 00:18
[한글 / 맞춤법] 뒤치닥거리 뒤치다꺼리 중

제일 흔히 하는 실수는 '뒤치닥거리'.더 헷갈려보자면 '뒷치닥거리' 까지 갈 수 있겠다.그러나 '뒤치다꺼리'는 받침은 버리고 발음을 가져와더 틀린 맞춤법 같은 '뒤치다꺼리' 되시겠다.

0개 국어 2025. 3. 21. 19:40
[한글 / 단어] 미성년자

미성년자 | 未成年者 | Minor 성년이 아닌 사람. 민법상 만 19세 미만의 사람을 이른다. 우리 민법은 미성년자 보호에 치중하고 있다.이는 사회 경험이 적고 합리적 의사 결정 능력이 부족하여 불리한 계약을 맺을 가능성이 큰 미성년자를 성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미성년자'라는 단어의 의미를 사람들이 잘 모르는 것 같아서 올려본다.제대로 된 합의 자체가 성사될 수 없단 소리예요 이 사람들아. https://youtu.be/JNUd_5zw5-k?si=pBX1x1kqr9bMQ0kb minor를 켄드릭 라마한테 배웠는데쓸 일이 있을까 했더니만...

0개 국어 2025. 3. 17. 20:49
[한글 / 맞춤법] -에요, -예요 아무것도 아니에요

어디선가 본 '아니에요' '아니예요' 아닌가 싶은데 발음으로는 '아니에요'가 맞는 것 같고...검색해 봤더니 맞는 맞춤법이었다!0개 국어력 또 적립...공부하자.   우선,'아니에요'는 무조건 '아니에요'다.그것이 법칙이니까. (끄덕)  대표적인 구분 방법은 받침의 유무인데발음으로 생각하면 조금 더 편할 것 같다. 받침이 있으면 -에요,받침이 없으면 -예요인데 뉴진스님이에요.뉴진스예요. 이걸 굳이 뉴진스님예요.뉴진스에요. 라고 발음 안 하니까.  '-예요'는 조사 '이'와 '-에요'가 합쳐진 '-이에요'의 줄임말이다.고로 '-이예요' 라고만 쓰지 않아도 대부분의 실수를 피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아니에요'는 그냥 '아니에요'로 외우십쇼.

0개 국어 2025. 2. 8. 00:58
[한글 / 맞춤법] 뭍에 가서 묻다!

쓸 때마다 이게 맞나? 하면서 찾아보는 '묻다'.쓰임에 따라 받침이 다른 게 아닐까 싶어서 헷갈리는데무조건 '묻'이다 무조건.   '묻다' 3종. 1, '(위치)에 (사물)이 들러붙다' (자동사) - 더러운 때가 묻지 아니하노니.- 잘생김이 묻다. 2. '(위치)에 (사물)을 보이지 않게 덮다' (타동사) - 자신의 흑역사마저도 묻어버리려는.- 당신들을 묻어버리겠다. 3. '(사람)에게 (개념)을 질문하다' (타동사) - 지나가는 사람에게 길을 묻다.- 관계자에게 책임을 묻다.  출처 - https://namu.wiki/w/%EB%AC%BB%EB%8B%A4 묻다한국어의 동사. 기본형이 '묻다'인 동사는 3개가 있다. 종류 묻다1 [ 染 ] '(위치)에 (사물)이 들러붙다'namu.wiki  가장 흔한 질..

0개 국어 2025. 1. 13. 16:01
이전 1 2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브리츠fit5pro
  • 7일은
  • 콤부차
  • 살인자의쇼핑몰
  • 오사형
  • BL웹툰
  • 코코제로
  • 2025년괜찮겠지?
  • 웹툰
  • 으자
  • 한글
  • 서브스턴스
  • 하나사와나미오
  • 캐시딜
  • 스즈마루민타
  • 맞춤법
  • 케이팝데몬헌터스
  • 로맨스소설
  • 영화빅토리
  • 오늘만사는형제
  • 영화
  • 어려운상사
  • BL
  • 나의적이달콤할때
  • 희란국연가
  • 더커버넌트
  • 마루는강쥐
  • 표도르는효도를
  • 스킵과로퍼
  • bl만화
more
«   2025/08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